◈ 한강공원의 벌레
송충이를 닮은 벌레의 유충이 올가을 전국적으로 발생.
최근 소셜네트워크(SNS) 등에는 “한강공원 산책로가 송충이로 뒤덮였다”는 목격담이 줄을 잇고 있다.
일몰을 보려고 돗자리를 깔았는데 100여마리가 주변을 기어다니고 있었다거나,
나무 그늘에 앉아 있는데 어깨 위로 떨어져서 기겁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생김새가 비슷해 흔히 송충이로 오해받는 이 벌레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이다.
◆ 미국흰불나방 국내 유입 확산
미국흰불나방은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을 거쳐 국내에 들어왔다.
국내에서는 1960년대에 큰 피해를 입힌 바 있으며,
외국에서 수입한 목재를 통해 국내로 1958년 이후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청은 지난 8월 말 “경기·충북·경북·전북 등 전국적으로 미국흰불나방의 밀도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며
발생 예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경계’(3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산림병해충 방제 규정 제6조에 따르면 경계 단계는 외래·돌발병해충이 2개 이상의 시·군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거나 50㏊ 이상의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한다.)
◆ 미국흰불나방 유충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활엽수 잎을 갉아먹으며
주로 도심의 가로수·조경수·농경지 과수목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여름철에 출몰한 일명 ‘러브버그’ 붉은등우단털파리가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익충이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나무의 잎맥만 남길 정도로 왕성한 식욕을 갖고 있으며,
유충 한 마리가 먹는 잎의 양은 100~150㎠에 달한다.
또 사람과 접촉하면 알레르기나 각막염, 피부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 미국흰불나방 유충 방제 방법
활엽수 잎에서 알을 무더기로 낳고 벌레집 안에 숨어 활동하는 특성상,
미국흰불나방 유충에 대한 방제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한강공원의 경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살충제 등 화학약품은 사용할 수 없다.
미래한강본부 녹지관리과 담당자는
“고압 살수로 해충을 떨어뜨린 뒤 정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며
“떨어져도 다시 나무 위로 기어 올라가거나 옆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전한 방제가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흰불나방은 7월 하순~8월 상순이 산란기이며 평균적으로 암컷 한 마리가 600개의 알을 낳는다.
보통 한 해에 암컷이 알을 낳고 죽은 뒤 이 알에서 부화한 2세대가 성충이 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앉아야 따뜻해지는 <탄소온열의자> 버스정류소 엉따의자 (0) | 2023.10.23 |
---|---|
한강 벌레 송충이 <미국흰불나방 > 제거방법 (0) | 2023.10.23 |
국내 첫 발병 가축 전염병 '소 럼피스킨병' 무엇인가? (1) | 2023.10.23 |
오래 보관 해야하는 천일염 보관법 <간수빼기, 보관방법> (0) | 2023.06.26 |
심각한 기후 위기 <4가지 지표 최악 > "2023년은 미친 영역(crazy territory)으로 향해 가고 있다" (0) | 2023.06.21 |
댓글